퇴직 후 지급을 신청하지 않아 경제적인 손실을 겪고 있는 많은 노동자들이 있습니다. 고용노동부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이 시행하는 ‘퇴직연금 미청구 적립금 찾아주기 캠페인’을 통해 이러한 잠들어있는 퇴직연금을 찾아보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퇴직연금 미청구 적립금 설명
퇴직연금 미청구 적립금이란?
퇴직연금 미청구 적립금은 퇴직연금제도에 가입한 노동자가 퇴직 후 지급을 신청하지 않아 금융기관에 적립된 금액을 의미합니다. 이는 퇴직 후 적립금 지급을 신청하지 않은 경우 발생하며, 노동자가 퇴직연금제도 가입 사실을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미청구 적립금 현황
2017년 말 기준으로, 폐업·도산 사업장에서 발생한 미청구 퇴직연금은 1,093억 원에 달하며, 최근 3년간 이 금액은 1,000억 원에서 1,200억 원 사이에서 유지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많은 노동자들이 퇴직금을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퇴직연금 찾아가는 방법
통합연금포털 이용하기
퇴직연금과 관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통합연금포털’을 통해 자신의 퇴직연금 내역을 쉽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 포털에 접속하여 가입내역 및 퇴직연금 사업자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급 신청 절차
퇴직연금은 확정기여형(DC)와 확정급여형(DB)으로 나뉘며, 각각의 신청 방법이 다릅니다.
– DC형: 퇴직연금사업자가 제공하는 급여지급신청서를 작성하여 제출하면 됩니다.
– DB형: 퇴직 전 급여명세서와 퇴직 사실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를 첨부하여 제출해야 합니다.
[표] 퇴직연금 지급신청 시 제출서류
| 구분 | 제출서류 |
|---|---|
| DC형 | 퇴직연금사업자가 제공하는 급여지급신청서 |
| DB형 | 급여명세서 등 급여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증빙자료 1개, 퇴직사실을 증명할 수 있는 증빙자료 1개 |
정부의 지원 방안
주민등록 주소정보 활용
정부는 퇴직연금사업자가 주민등록 주소정보를 활용하여 미청구 노동자에게 개별 안내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많은 노동자가 퇴직연금을 찾을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다양한 홍보 방법
지방고용노동관서와 퇴직연금사업자는 대면 창구와 홈페이지에 퇴직연금 가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하는 팜플렛을 비치하고, 팝업 및 배너를 통해 적극적으로 홍보할 예정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질문1: 퇴직연금을 찾으려면 어떤 절차가 필요한가요?
퇴직연금을 찾으려면 통합연금포털을 통해 가입내역을 확인하고, 필요한 서류를 준비하여 퇴직연금사업자에게 지급신청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질문2: 미청구 적립금이 많으면 어떤 조치를 취하나요?
정부는 미청구 적립금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증가하는 퇴직연금사업자에 대해 집중 관리할 예정입니다.
질문3: 퇴직연금이 얼마나 적립되어 있는지 어떻게 확인하나요?
통합연금포털(100lifeplan.fss.or.kr)에 접속하여 개인의 연금 계약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질문4: 퇴직연금 지급신청 시 제출해야 할 서류는 무엇인가요?
확정기여형은 급여지급신청서를, 확정급여형은 급여내역과 퇴직사실을 증명할 서류를 각각 제출해야 합니다.
질문5: 퇴직 후 언제까지 퇴직연금을 신청할 수 있나요?
퇴직 후 언제든지 퇴직연금사업자에게 지급신청을 할 수 있으며, 지체 없이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전 글: 현역가왕 투표하기 방법 및 방청신청 안내